반응형

3D 프린터 159

헤드리스 일렉기타. 디자인 변경 제작기.

헤드리스 일렉기타. 디자인 변경 후 제작기를 안썼다. 보라색 바디에. 바디 뒷면이 직각이라 옆구리가 쑤셨는데. 바디 뒷면도 곡선 추가해서 몸에 착 붙게 설계를 바꿨다기존에 만들었던 디자인 바디 상단 핑크 힌색부분이 옆구리를 찌르고 아래쪽 빨간부분은 허벅지를 찌른다. 게다가 아래쪽 흰색 부분이 허벅지에서 자꾸 미끄러져서 안정감이 매우 떨어지는 디자인이 된 상황. 이런저런 단점을 보완해서 대충 설계를 마치고 바디 중간쪽 부터 다시 출력했다. 적층결이 튀는 부분도 있었지만 조립에 문제는 안되는 부분. 바디 아래쪽도 허벅지에서 안미끄러지게 디자인 조금 수정했었고. 잭 위치도 수정했다 다시 출력하는 중. 기존에 뾰족한 디자인에서 좀 더 부드러워진 디자인. 나머지 부분 출력해주고 결합 완성 의도한 모양대로 잘 나와..

3D 프린터 2024.08.24

3D 프린터로 제작된 기계식 키보드 - 소젯키보드 34호기 사용기 드디어 300타 돌파

3D프린터로 제작된 기계식 키보드 소젯 키보드국내에서 유능하신 분께서 제작중인 키보드인데 기존 키보드와 다른 배치와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전 글 참고하면 사진 있어요~)타자 연습 사이트 타이핑웍스 에서 틈틈히 연습 중인데 오늘 드디어 평균 타수 300타를 돌파 했다. 기준은 아래와 같이 모든 주제들에 대해서 선택했고 컨텐츠 길이는 150으로 설정 했다.  타이핑 시작해서 오늘의 컨텐츠 한바퀴 돌리는거 기준으로 투데이 타수를 확인해보니304타가 나왔다,월 평균은 272타, 기존 대비 오늘 집중력이 좋았나...높아졌다쭉 300타 이상 넘어가도록 연습을 지속 해봐야겠다.지금까지 총 타수는 36879타이게 많은건지 적은건지 감은 안오지만 회사에서 하루종일 일할때 보단 확실히 적겠지,키보드를 들고 회사에 가서..

소젯 키보드 34호기 사용기-3 3D프린터로 제작된 기계식 커스텀 키보드.

띄엄띄엄 작성하는 소젯 키보드 34호 버전 사용기. 타이핑 웍스 1달 평균 타수 및 글자판 눌림 분포도 이다. 지난 글에서 아마 당일 기록이엇던가..230타 정도 나왔는데 그동안 틈틈히 쳐보면서 260타까지 올라왔다 소젯 프로그램에서 누적된 총 타수는 20000 타가 넘는데 약 20분간 타이핑 웍스 달려보면 5000타 정도 칠 수 있는거 같다. 키보드 사진을 찍어봤는데 많이 눌린 키캡은 광이 조금 더 난다. 위에 분포도와 거의 일치하는거 같아서 또하나의 재미있는 변화를 볼 수 있다. 타이핑 웍스에서 히스토리를 보면 86문장을 타이핑 했다. 뭐 새로운 키보드를 써보면서 믾이 쓴거 같지는 않다.계속 누적시키면서 평균타수 300타를 넘기는 시점에 다시 글을 올려 봐야겠다.

소젯 키보드 사용기 34호 -2 평균 타수, 키 통계 살펴보기 (기계식 키보드, 자작 기계식 키보드)

소젯 키보드 34호기로 타이핑하는 재미가 좋다. 직교형과 양손 엄지 조작이 익숙해지면 새끼손가락 할 일이 엄청 줄어든다 양손 새끼손가락도 시프트 누르는 일을 왼손 엄지에게 다 떠넘기고 팽팽 놀고 있다. 대신... 왼손엄지가 평소보다 엄청 바빠져서. 모음과 시프트 같이 누를 일이 많으니...왼손 전완근이 좀 뻐근해진다. 그리고 왼손엄지와 나머지 손가락으로 ㄲ,ㅆ,ㄸ,ㅉ,ㅃ, 를 누를때 기존의 일반적인 키보드보다 살짝 버벅이는 느낌이 있다. 항상 왼손/오른손 나눠서 하던걸 왼손에 다 맡기니 그런 듯하다. 익숙해지면 타이밍이 좋아지겠지~! 그리고 Typing works에서 평균 타수를 보니 234타가 나온다. 짧은 글은 최고 집중력으로 406타가 나왔고.. 보통 장문의 글로 연습을 해보니 아직 갈 길이 멀었다..

소젯 키보드 34호기 사용기 -1 적응 단계( 자작 기계식 키보드, 타건음, 3D프린터로 만든 키보드)

소젯 키보드 34호기 수령 후 제대로 사용을 못해봤다. 약 십여분 정도 타이핑웍스에서 타이핑 해 보니. 이벌식으로 약 이백타 정도 나오는거 같다. 나름 직교형에 적응 다 했다고 생각했는데 몇달간 안썼더니 몸이 기억을 잃은듯 하다. 일. 손을 얹었을 때 느낌. 어디 불필요하게 걸리적 거리는거 없이 쾌적하다. 이전에 이십칠호기 써볼 때 손바닥에 살짝 걸리적 거리는게 있었는데 팜 레스트 높이가 최적화 된 듯 하고, 손바닥에 걸리는 키 높이가 확 낮아서 간섭이 없는것 같다. 이. 이번 삼십사호기는 피씨비 제작을 염두한 버전으로 키 캡에서 곡면을 구현한 방식인데 이질감이 전혀 없다. 민감한 사람은 키 감이 다를 수 있을수도 있다고 하셨지만. 전혀 못 느끼고 있다. 둔감한건가..ㅋㅋ 여튼 손가락 얹어보면서 사진도 ..

오랜만의 글. 소젯키보드 34호

오랜만의 소젯 키보드 소식이다. 제작자분께서 꾸준하게 버전업을 하면서 디자인 완성도가 잡혀가고 있는것 같다. 34호는 PCB 기판 제작을 염두하여 설계하셨고 키캡에서 곡면을 구현된 구조이다. 옆에 기능키들은 포고핀&자석으로 탈착식이다. 촥 촥 붙는게 느낌이 좋다. 기존 보유하고 있는 소젯 26호기와 비교. 컴팩트해지고 디자인 완성도가 엄청 좋아졌다. 오랜만에 직교배열 잡아보니 어색하다. 타이핑웍스 가보니 200타 겨우 나오는 상황이네.. 차근 차근 틈틈히 사용해보면서 기존 26호기와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다이얼과 조이스틱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확인해봐야겠다.

소젯 키보드 26호 사용일지 7편 - 소젯배치 타수 측정

소젯 키보드 26호를 오랜만에 꺼내들었다. 지금은 소젯배치를 켜놓고 오타 수정하면서 글을 써보고 있다. 예전에 비해서 많이 익숙해졌고 한글 자판 위치도 머리로는 다 외운듯 하다. 하지만 한 문장 쓰는데 오타는 열번 이상 나는거 같다. 타이핑웍스에서 간단히 5문장 타이핑 해 보니 아래와 같은 결과가 나왔다. 최고타수 207타 평균타수 175타 지난번에 소젯프로그램에 있는 타수 측정기로 100타 겨우 넘겼는데 장족의 발전이다. 지금도 나름 소젯 배치로 글을 잘 써내려 가고 있다. 다시한번 느끼는 점이지만 손목의 큰 이동없이 타이핑이 가능하다. 적응하면 엄청 편하게 사용할 수 있을 듯 하다.

소젯 키보드 사용일지 27호 4편 - 소젯 배치로 타이핑웍스 타수 측정 해보기

소젯 27호기로 타이핑 웍스에서 타수 측정을 해봤다. 일반 2벌식은 대략 300타는 유지되고 최고타수 400후반정도 나온다. 이제 소젯배치를 한번 써볼 차례 몸풀기로 10문장 타이핑해서 감 잡아보고 새로운 10문장 측정을 했다. 결과는 최고 175 평균 141타따로 꾸준히 연습을 해 온건 아니고 키보드 자체에 적응하기위한 하루에 약 10분정도만 2벌식으로 타이핑을 틈틈히 해온 상태다. 아직 소젯 배치는 뇌가 개입해서 '야 저기 ㅌ 만들려먼 시프트 누르고 ㄷ 아래를 눌러' 라고 생각을 하면서 눌러야 한다. ㅋㅋ 차근차근 시간을 두고 연습해봐야 겠다. 소젯 배치를 타이핑 할때는 직교식이 훨씬 편한거 같다. 어차피 새로운 배치라서 키보드도 익숙하지 않은걸로 익혀두는게 더 나을지도 모르겠다. 내일은 시간나면 소..

소젯 키보드 사용일지 27호 3편

27호기에 26호기 팜레스트를 장착하고 타이핑을 해봤다. 아주 미약하게 손바닥이 덜 걸리는 느낌이다. 키캡을 빼면 전혀 안걸린다 ㅋㅋ 타이핑 적응을 잠시 하고 타이핑웍스에서 운수좋은날을 타이핑해봤다. 결과는 아래와같고 아래는 소젯 26호기로 타이핑 해 본 결과이다 최고 타수는 26호기가 더 높지만 특정 문장에서 순간 집중도? 또는 운빨이 좋아서 그런거 같다. 최고속은 아직 적응 단계에서 큰 의미없는거 같고,, 평균타수가 26호기가 약간 낮게 나왔다. 손가락은 분명 유동이 적고 편한거 같은데 !," 등 기호 치는거에서 많이 헤맨 결과인듯 하다. 타이핑의 재미를 찾아가는 중인듯 하다.

소젯 키보드 사용일지 27호기 2편

타이핑은 확실히 직교보다 적응하기 편안하다. 손 배치를 보면 왼손엄지는 자주쓰는 시프트에 딱 올라가고. 오른손도 백스페이스, 스페이스, 엔터를 치기 딱 좋다. 한가지 어색한건 왼손으로 쌍모음 쓸때 오른손 새끼손가락이 먼저 반응한다. 왼손 엄지는 뇌가 "빨리 움직여" 라고 해야 반응한다 머슬메모리가 아직 멍청한 상태인듯하다. 타이핑하다보니 이질감 추가. 손바닥 살이 다른 키에 닿는다. 팜레스트에 아무것도 안붙인 상태라서 그런가 새끼손가락으로 타이핑하려고 뻗을때 키가 살짝 눌리는 느낌도 난다. 소젯 26호는 팜레스트에 마우스패드가붙어있고. 두께는 대략 2mm쯤 되어보인다. 요 차이로 인해 안닿는것이거나, 소젯26호의 자판 배치가 오르락 내리락 잘 되어있어서 새끼손가락을 덜 뻗고 타이핑이 되는것이거나.. 다음..

반응형